나라에서 제공하는 임산부 혜택에 대해서 중구난방인 자료들이 많아 정리해보려고 한다. 일부 지원금의 경우 서울시 내에서도 구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해당구 보건소 홈페이지에서 내용을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내가 거주하고 있는 강남구 기준으로 임산부 혜택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출산 전 혜택
출산 전 혜택은 주수별로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다르다.
12주 이내 - 임신초기 및 풍진 항체 검사 (강남구민) , 엽산제 지급, 엠블럼 배부
해당하는 검사는 일반혈액검사, 혈액형 검사, 소변검사, B형간염 항체, 풍진 항체, 에이즈 매독 검사이다. 나는 임신 전에 남녀 임신준비 지원사업을 통해 해당 검사를 미리 받았기 때문에 검사는 패스했다.
임신 전 산전검사 검사항목과 예약방법, 후기는 아래 포스팅에 자세히 다뤘다.
엽산은 약 12주 치의 엽산을 제공하며 엠블럼이란 임산부 뱃지를 얘기한다.
12주 이후 - 서울시 교통비 바우처 신청
주소지 기준 주민센터 또는 정부 24 맘편한 임신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각 관할 동 주민센터에서 관할한다. 바우처 카드에 70만원의 교통 포인트를 지급한다. 대중교통, 유류부, 철도에서 사용 가능하다.
16주~20주 - 2차 기형아(쿼드) 검사 예약필수
임신 전체기간 서울시 거주 35세 이상 산모에게 1인당 최대 100만원까지 검사비 지원한다.
16주~분만 전 - 철분제 지급 5개월 분
24주~28주 - 임신성 당뇨 빈혈 검사
27주~36주 - 임산부 백일해(Tdap) 접종
출산예정일 40일 전 ~ 출산 후 30일까지 - 산후도우미 바우처
소득 유형과 태아 유형에 따라 서비스 기간 차등 지원한다.
출산 후 혜택 (강남구 기준)
1. 산후조리경비 지원: 서울시 전체 거주 산모, 출생우 서울 출생신고 시 산모 카드에 100만원 바우처 포인트 지급, 산모 신생아 관리 서비스 이용 최대 50만원, 산후조리경비 관련 업종 최대 50만원 (산후 조리원 제외)
2. 강남구 산후건강관리 비용: 산후도우미 및 산후조리경비 바우처 선 사용 후 본인 부담금 최대 50만원 차액 지원
3. 출산양육 지원금: 강남구 거주 1년 이상 경과자만 해당하며, 첫째 출생 시 200만원, 둘 째 200만원, 셋째 300만원, 넷째 이상 500만원 지급
4. 첫만남이용권: 출생신고 후 첫째 200만원, 둘째 이상 300만원 일회성 바우처 지원
5. 부모급여: 11개월까지 100만원, 12~23개월까지 월 50만원 지원 (어린이집 입소 시 보육료 변경 신청)
6. 아동수당: 만 0세~만 8세 미만의 모든 아동 소득기준 상관 없이 월 10만원 지원
7. 전기요금 할인: 출생일로부터 3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월까지 전기요금의 30% 할인 (월 16,000원 한도)
산후조리경비 지원은 서울맘케어에서 신청한다. 서울맘케어시스템 (seoulmomcare.com)
서울맘케어 -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서울맘케어 -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홈페이지입니다. 임산부 교통비 지원 신청 및 지원금 사용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seoulmomcare.com
출산양육 지원금, 첫만남 이용권, 부모급여, 아동수당은 각 관할 동주민센터에 신청하면 된다. 전기요금 할인은 한국전력공사 고객센터 123번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각종 혜택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혜택 (3) | 2024.11.03 |
---|---|
임산부 무료 독감 예방 접종 가능 기관/ 21주차 임산부 접종 후기 (1) | 2024.10.28 |
보건소 산전검사/ 임신준비 지원사업 대상, 검진항목, 신청 방법 (0) | 2024.08.21 |
댓글